5급 사무관 연봉 실수령액
안정적이고 오래다닐 수 있는 직장을 찾는 분들에게 인기가 많은 공무원은 은퇴후 노후까지 어느정도 보장을 받을 수 있어서 지난 몇년동안 최고의 직장으로 각광받고 있습니다.
오늘은 어렵게 5급 공무원시험(행정고시)를 통과한 5급 사무관에 대한 연봉 정보와 실제로 받는 금액인 실수령액 정보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5급 사무관이라고 하면 5급 공무원을 뜻하는데 주사의 위이며 서기관의 아래입니다. 일반적으로 행정고등고시를 합격하는 분들 말하며 관리 감독, 시청, 구청, 군청에서 기관장 또는 부서장 등의 역할을 수행하게 됩니다.
5급 사무관 연봉 실수령액을 확인해보니 정말 엄청나다는 얘기를 듣고 5급 공무원에 관심을 가지게 되어 이것저것 내용을 알아보았습니다.
(출처 인사혁신처)
인사혁신처에서 제공하는 2019년도 공무원봉급표를 살펴보면 9급 1등급부터 시작해서 8급 2등급, 7급 3등급 순으로 실수령액 확인이 가능합니다.
그럼 5급 사무관의 경우 1호봉부터 30호봉까지 분류되어 있으며 1호봉은 234만원, 30호봉은 454만원으로 확인이 됩니다.
여기서 끝이라고 생각할 수가 있을것 같은데요 이 금액은 기본급으로
정근수당, 성과상여금, 가족수당, 자녀학비보조수당, 육아휴직수당, 초과근무수당, 정액급식비, 직급보조비, 명절휴가비, 연가보상비 등을 합치면 비로소 '실 수령액'을 확인할 수가 있습니다.
(출처 인사혁신처)
수당에 대해 좀더 알아보면 정근수당의 경우 매년 1월과 7월에 지급이 되는데 근무연수에 따라 월봉금액의 최소 0%에서 최대 50%까지 지급이 됩니다.
(출처 국가법령정보센터)
그 다음 가족수당의 경우 배우자와 자녀 그리고 부양가족에 따라 추가적인 금액을 지급 받을수가 있습니다.
다가오는 추석에 명절휴가비를 받을수가 있는데 연 2회 설과 추석 전 명절 휴가비로 본봉의 60%를 받을수가 있습니다. 하지만 성과연봉제가 적용되는 5급 이상 공무원들은 1년치 명절휴가비가 12등분되어서 지급되고 있다는 점 추가로 알려드립니다.
개인의 환경에 따라 받을 수 있는 수당과 그렇지 못한 수당이 있기 때문에 5급 사무관 연봉을 정확히 확인하는 것은 어렵습니다. 더군다나 2017년부터 1~5급 공무원은 성과급적 연봉제를 적용하고 있기 때문에 더욱더 알기가 힘들어졌습니다.
지금까지 밝혀진 내용을 종합해 보면 4000만원 중 후반 대로 생각하시면 되며 호봉에 따라 성과에 따라 계속해서 오르니까 감안하시기 바랍니다.
이렇게 해서 5급 사무관 연봉에 대해 알아보았는데 5급 연봉은 다른 7급 9급보다 많이 받는 다는 것을 확인할 수가 있는데 그 만큼 시험도 어렵고 준비할 것도 많기 때문에 더 많은 노력이 필요할것 같습니다.
이상으로 5급 사무관 연봉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댓글